하스스톤 인벤

하스스톤 인벤

로그인하고
출석보상 받으세요!

덱 시뮬레이터

확장팩 바뀌기 전에 좋은 약 하나 팔고 갑니다.여기서 엑조디아란, 그냥 타우릿산 넣어서 코스트 줄여서 쓰는 덱입니다.(아래 덱리스트)퀘법은 여기서 사용된 덱리스트를 참고.[등급전 승률 (18급(? 기억안남)~3급)]엑조디아(무한염구덱) : 61승 55패 (53%)퀘스트 법사(퀘법) : 48승 30패 (62%)[일반전 승률]엑조디아(무한염구덱) : 24승 12패 (67%)퀘스트 법사(퀘법) : 28승 19패 (60%)----------------
이 덱을 평가해 주세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덱의 성능은?
평가중
추천 : 3 / 비추천 : 0
이 덱을 평가해주세요.
마법사 : 제이나 프라우드무어
Mage : Jaina Proudmoore
  • 덱 구성
  •  
  • 직업 특화
  •  
  • 선호 옵션
  •  
  • 평균 비용
  •  
[야생] 역대급 퀘법(승률62%)/일반엑조디아(53%) [설명 참조] 작성자 : 호러틱 | 작성/갱신일 : 2018-12-02 13:46:08 | 조회수 : 1690
카드 리스트 - 제작 가격: 00/30
덱 복사카운팅 툴
AAEBAf0ECK4D+Ae4CNYRwcEC0MECudECluQCC4oBwAGcAskDqwTLBOYEkqwCmMQC2sUCtPwCAA==
덱 코드 발급받기
마법사 
  • 카드 없음
 
중립 
  • 카드 없음
비용 분포 (마나 커브)
  • 0
  • 1
  • 2
  • 3
  • 4
  • 5
  • 6
  • 7+
  • 평균 비용 : -
덱 구성
  • 하수인
  • 주문
  • 무기
  • 장소
  •  오리지널 카드
  •  고전
  •  핵심
  •  이벤트
  •  낙스라마스의 저주
  •  고블린 대 노움
  •  검은바위 산
  •  대 마상시합
  •  탐험가 연맹
  •  고대신의 속삭임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
  •  운고로를 향한 여정
  •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  코볼트와 지하 미궁
  •  마녀숲
  •  폭심만만 프로젝트
  •  대난투
  •  어둠의 반격
  •  울둠의 구원자
  •  용의 강림
  •  갈라크론드의 부활
  •  황폐한 아웃랜드
  •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  수습 악마 사냥꾼
  •  광기의 다크문 축제
  •  불모의 땅
  •  스톰윈드
  •  알터랙 계곡
  •  가라앉은 도시로의 항해
  •  나스리아 성채 살인 사건
  •  리치왕의 진군
  •  아서스의 길
  •  전설노래자랑
  •  티탄
  •  시간의 동굴
  •  황야의 땅 결투
  •  위즈뱅의 장난감 공방
  •  극한의 극락
  •  끝없는 어둠
  •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  운고로의 잃어버린 도시
선공후공을 선택해 주세요.
추가 설명
확장팩 바뀌기 전에 좋은 약 하나 팔고 갑니다.

여기서 엑조디아란, 그냥 타우릿산 넣어서 코스트 줄여서 쓰는 덱입니다.(아래 덱리스트)
퀘법은 여기서 사용된 덱리스트를 참고.

[등급전 승률 (18급(? 기억안남)~3급)]
엑조디아(무한염구덱) : 61승 55패 (53%)
퀘스트 법사(퀘법) : 48승 30패 (62%)

[일반전 승률]
엑조디아(무한염구덱) : 24승 12패 (67%)
퀘스트 법사(퀘법) : 28승 19패 (60%)

-----------------------------------------------------------------------------------

유리한 덱 : 빅사제, 천정내열사제, 리노사제 / 리노흑마, 홀전사, 비취드루, 얼방 쓰는 법사들(컨법, 퀘법, 무한염구)(내가 퀘법덱일 때 한정 - 같은 무한염구덱 인데 유리한 이유는 아래에 설명) 

불리한 덱 : 짝수리, 홀돚, 기계냥꾼, 왕파도적 (이번 달은 이 덱들이 많아져서 등급전 승률이 50% 전후로 떨어짐 ㅎ)

의외로 할만한 덱(유리) : 홀기사, 토큰드루
승률 반반 : 두억시니, 템포법사

적히지 않은 대부분 덱들은 많이 안 보여서 안 적었습니다. 아니면 깜빡했다던가 ㅎ (해적전사 같은 덱 빼면 대부분 유리) 

--------------------------------------------------------------------------------------

1. 엑조디아 대신 왜 퀘법인가?
엑조디아 덱은 플레이 해보시면 알겠지만, '필수 선행 조건'을 맞추기가 까다롭습니다.
바로, '타우릿산으로 미리 줄여놔야 가능하다'는 조건인데요,
즉, '반드시 6코스트 플레이를 하면서, 내가 죽지 않을 플랜을 세워야만 합니다.

실제로 엑조디아덱을 플레이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다음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타우릿산이 나오지 않는데 다른 파츠는 다 모였지만, 내 손에 '주문 드로우 카드'도 없고, 얼방도 다 쓴 상황]
따라서 엑조디아 덱의 경우, 타우릿산이 나올 때 까지 버티는 것이 중요한데, 아래에 써있는 덱리스트처럼, 리노를 넣었더니 실제로 승률이 올랐습니다. (아래에 자세히 설명)
그런데, 그럼에도 막지 못하는 경우도 분명히 있더군요.
그래서 퀘법을 먼저 소개드립니다.

2. 엑조디아와 다른, '이 퀘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눈치채셨겠지만, 제가 소개할 덱은, 우리가 이전까지 기억한 (작년의) 퀘법과 다릅니다.
그 때의 퀘법이라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다른 점을 아래에 소개하자면,


- 3코 시린빛 2장 대신 1장을 기용, 대신 2코 연구 프로젝트를 2장 기용.
쓰면 아시겠지만, 손패 수급은 절대 어렵지 않습니다. 드로우 카드가 안 들어오는 경우는 정말 운이 없는 경우인데, 이마저도 드로우 카드가 아니라면 빙결기나 파츠라서, 특히 고서가 들어왔다면 고서를 풀어서 유연한 대처도 가능하죠.


- 쓸데없다고 느낀 주문 생성 카드들을 제거하고, 실속있는 카드들로 대체.
주문 생성은 최소한 태고의 문양, 고서, 그리고 안토니 염구뿐!
물론, 퀘스트는 못 깰 수도 있겠습니다만, 앞서 서술했듯이 드로우 자체는 부족하지도 않고, 아래 서술할 타우릿산 덕분에 '주문 생성 카드가 없어서, 그래서 퀘스트를 못 깨서 졌다'고 느끼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 타우릿산의 존재
위에서 손패 수급은 절대 어렵지 않다고 서술하였고, 손패 터는 것이 어렵다고 썼습니다.
여기서 타우릿산으로 인해, 손패를 더욱 유용하게 털 수 있습니다. 주로, 이 용도로 넣었고, 실제로도 이렇게 많이 활용됩니다. (특히, 눈보라가 6코, 고서 5코 같은 고코스트 카드와의 연계가 어려운 점이 완화됩니다.)

또한, B플랜으로, 엑조디아덱 처럼 운영할 수 있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이 경우는 당연히 퀘스트를 안 깨도 이깁니다!
심지어, 상대도 엑조디아 덱일 경우, 혹은 리노를 쓰는 컨법일 경우 등, 얼방을 쓰는 법사도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엑조디아 플랜을 사용하면 퀘스트 보상을 사용하기 전에 얼방을 깰 수 있거든요! 얼방 깬 다음에 퀘스트 보상을 사용하면 다음 턴에 상대는 얼방이 벗겨진 상태가 됩니다 ㅎ

물론, 엑조디아 플랜은 원래 플랜의 상위호환격인 느낌이라, 엑조디아덱을 굴리는게 낫지 않겠나 싶었지만, 위의 1번을 보면 왜 이 퀘법을 돌리는지 이해가 가실겁니다. 실제로 더 유연하게 굴러갑니다.


- 미치광이 과학자 > 비전학자로 대체 
이 부분은 취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위급할 때, 바로 꺼내서 사용하기 좋아서 비전학자를 씁니다.



3. 운영법?

(1) 멀리건
공통 멀리건
드로우 카드 최소 1장 / 타우릿산을 포함한, 다른 파츠카드, 고코스트 카드는 갈아버리기
단, 사제나 드루 같은 경우, 저는 안토니가 나오면 가져가는 편입니다.
상대도 마법사인 경우, 지금 돌리는 사람들 중, 법사 중에서 템법이 많냐 아니냐에 따라 눈치껏 타우릿산을 가져갑니다.
 템법이어도, 타우릿산으로 줄인 주문 하나로 마차를 빼고, 다른 하나로 필드를 얼리는 식의 플레이도 가능하긴 하지만 왠만하면 다른 카드가 더 나은듯 합니다.

도적의 경우
핸파의 경우를 고려하여, 드로우 카드는 1장만 챙겨줍니다. 단, 기본 스탯이 좋은 비전학자는 예외로 합니다.

상대가 빠른 어그로 덱인 경우 
: 3, 4코 빙결기 딱 1개 혹은 종말이 딱 1개만 챙겨갑니다. 챙겨가도 드로우 카드 혹은 태고의 문양, 파멸의 예언자 등, 코스트를 다 못쓰고 남아서 불리한 경우가 (경험상) 많이 없어서 괜찮습니다.

나머지는 상식선에서 멀리건해주세요.


(2) 콤보 파츠 모아서 승리하기
다들 아시는 운영 해주시면 됩니다.

상대 덱카운팅 및 언제부터 얼릴지 얼리는 타이밍 잘 재는 것부터 시작해서

고서를 지금 까야할 지, 퀘스트 깨기 직전에 4수습생으로 깔지, (혹은 5수습생 계산)

드로우 카드는 '상대와 나' 모두 드로우 하는 카드를 내야할 지, 나만 드로우 하는 카드를 내야할 지, 퀘스트 깨기 직전 수습생들을 고려하여 주문 드로우는 아끼고 하수인 드로우 카드를 내야 할 지 등,

이 덱의 경우, 상대 덱에 따라, 여유가 좀 있어서 엑조디아 플랜을 해야할지(즉 타우릿산을 일찍 낼지), 굳이 안해도 될 지, 

또한 이 덱의 기술병이 1장 뿐임을 고려해서 기술병을, 내 얼방이 이번 턴에 빠지지 않도록 힐을 해야 할 지, 혹은 상대 필드가 내 체력 대비 오버데미지라서 얼방으로 체력 1을 만든 다음에 빙결기와 함께 상대의 즉발딜을 고려하여 내 명치를 지킬지 등,

드루라면 자연화 조심, 흑마라면 밀고자, 노움페라투 조심(손패관리), 같은 콤보법사 혹은 핸파도적이라면 핸파카드 조심 등,

또한 상대의 비밀이 내 콤보에 영향을 주는지, 내 덱애 남은 카드에 따라 탈진데미지로 내가 죽는지 아닌지..
또 탈진을 고려하여 내 명치에 화작을 일부러 쳐서 얼방이 빠지기 직전 내 체력이 1이 안되게 한다던지 등등...

게임에서 패배한 경우도, 곰곰히 생각해보면 승리할 수도 있는 경우도 많은지라, 여러분의 머리회전이 절실합니다.

어차피 야생쪽 덱 보시는 여러분이라면 이런 카드들은 다 있으실 테니 심심하면 한 번 굴려보세요 ㅎㅎ
예전의 그 기상천외한 킬각을 만들어내던, 그 시절의 퀘법을 더욱 유연하게 굴릴 수 있다니까요 진짜로!
기존에 사용하던 3수습생플랜(27체력플랜)부터 시작해서, 타우릿산 덕분에 각종 특이한 경우에 대해 별의별 킬각이 다나옵니다. 필요한 건 여러분의 두뇌뿐!
(물론, 내 덱과 상대 덱을 카운팅하는 덱트래커는 반강제적으로 필요합니다)








------------------------------------------------------------------------------------------------------
사용하였던 엑조디아 덱도 여기에 써놓습니다. 
덱코드
AAEBAf0ECk2uA+0FuAjWEcMWwcECmMQCudECluQCCooBwAGcAskDqwTLBOYE+AfaxQK0/AIA

위 덱의 특기할만한 점은, 탈노스 등 드로우 극대화, 그리고 변이, 리노가 있다는 점입니다.

탈노스의 유용함이야 말 할 것도 없고, 변이도 실제로 사용해보시면 유용합니다. 예를 들면 짝수리의 4코77 흑드라군 제압, 혹은 부활사제의 라그나로스를 죽이는 대신 변이시켜서 부활각을 막는다던가, 등등 말이죠.

리노가 좀 특이한데, 보통 리노대신 기술병을 1장 더 넣죠. 하지만 전 리노를 넣었습니다. 위급할 때, 기술병과 얼방 및 빙결기를 사용해도 상대의 즉발딜이 많은 요즘에는, 결국 기술병을 쓰나마나한 것과 같은 결과를 낳기 때문이죠.

또한, 이 덱 특성상 드로우가 극대화된 덱이라 리노의 조건을 만족 못 해서 지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단, 리노가 나가는 타이밍에, 상대 필드가 이미 30딜 이상 혹은 근접하여 그래도 킬각의 위기인 경우, 심지어 리노는 6코지만 남은 4코로 사용할 수 있는 빙결기인 얼음회오리가 없는 경우,

아무리 리노 얼방을 하더라도 바로 30딜 맞고 얼방 빠져서 리노는 쓰나마나 한 셈이 되버립니다.
따라서, 리노는 
(1) 손에 얼회가 없고, 심지어 드로우 될 가능성도 낮은 경우에다가
(2) 상대의 필드가 높은 공격력으로 구성된 하수인이 많은 경우
엔 눈치껏 빨리 써줘서 체력회복 및 (사소하지만) 필드관리를 노리는 편이 더 낫습니다.


참고로, 위의 퀘법덱에서 리노를 넣지 않은 이유는 자리가 없어서입니다.
퀘법 덱을 보시면 알겠지만, 힐 카드가 기술병 1장이 전부라서요!
목록으로

코멘트

코멘트(0)

인벤 공식 미디어 파트너 및 제휴 파트너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박규상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