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스톤 인벤

하스스톤 인벤

로그인하고
출석보상 받으세요!

덱 시뮬레이터

새로 확장팩 나온데서 복귀한 사제유접니다.이 덱으로 걸린 시간은 10급부터 5급까지 한 3시간 걸린 거 같습니다.약한거 하는거 좋아해서 사제하는데 이번엔 남들이 안한걸로 해보려고 미드레인지 사제로 5급갔습니다.편의상 반말을 쓰겠습니다. 이 덱을 설명하자면<장점>1정령 시너지만 잘 쓰면 매우 강한 필드 장악력을 볼 수 있다.2퀘방밀을 제외하고 모든 덱 상대로 할만하다(퀘법과 퀘도적은 필드 유지해주면서 명존쎄하면 콤보 모으기 전에 박살내기 쉽고비취
이 덱을 평가해 주세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덱의 성능은?
평가중
추천 : 0 / 비추천 : 0
이 덱을 평가해주세요.
사제 : 안두인 린
Priest : Anduin Wrynn
  • 덱 구성
  •  
  • 직업 특화
  •  
  • 선호 옵션
  •  
  • 평균 비용
  •  
[정규] 4급 미드레인지 정령사제(feat 정분) 작성자 : 고유명사 | 작성/갱신일 : 2017-04-10 13:27:07 | 조회수 : 2389
카드 리스트 - 제작 가격: 00/30
덱 복사카운팅 툴
AAECAa0GBpAC0wq1uwLrwgLGxwK+yAIMoQTlBNcK8gzRwQLVwQLYwQLZwQKZwgKswgLCwwLIxwIA
덱 코드 발급받기
사제 
  • 카드 없음
 
중립 
  • 카드 없음
비용 분포 (마나 커브)
  • 0
  • 1
  • 2
  • 3
  • 4
  • 5
  • 6
  • 7+
  • 평균 비용 : -
덱 구성
  • 하수인
  • 주문
  • 무기
  • 장소
  •  오리지널 카드
  •  고전
  •  핵심
  •  이벤트
  •  낙스라마스의 저주
  •  고블린 대 노움
  •  검은바위 산
  •  대 마상시합
  •  탐험가 연맹
  •  고대신의 속삭임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
  •  운고로를 향한 여정
  •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  코볼트와 지하 미궁
  •  마녀숲
  •  폭심만만 프로젝트
  •  대난투
  •  어둠의 반격
  •  울둠의 구원자
  •  용의 강림
  •  갈라크론드의 부활
  •  황폐한 아웃랜드
  •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  수습 악마 사냥꾼
  •  광기의 다크문 축제
  •  불모의 땅
  •  스톰윈드
  •  알터랙 계곡
  •  가라앉은 도시로의 항해
  •  나스리아 성채 살인 사건
  •  리치왕의 진군
  •  아서스의 길
  •  전설노래자랑
  •  티탄
  •  시간의 동굴
  •  황야의 땅 결투
  •  위즈뱅의 장난감 공방
  •  극한의 극락
  •  끝없는 어둠
  •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  운고로의 잃어버린 도시
선공후공을 선택해 주세요.
추가 설명
새로 확장팩 나온데서 복귀한 사제유접니다.
이 덱으로 걸린 시간은 10급부터 5급까지 한 3시간 걸린 거 같습니다.
약한거 하는거 좋아해서 사제하는데 이번엔 남들이 안한걸로 해보려고 미드레인지 사제로 5급갔습니다.
편의상 반말을 쓰겠습니다. 

이 덱을 설명하자면

<장점>
1정령 시너지만 잘 쓰면 매우 강한 필드 장악력을 볼 수 있다.
2퀘방밀을 제외하고 모든 덱 상대로 할만하다
(퀘법과 퀘도적은 필드 유지해주면서 명존쎄하면 콤보 모으기 전에 박살내기 쉽고
비취 정령스랄과 냥꾼 상대로도 멀리건 잘 들고가면 꿀리지 않는 필드장악력을 가졌다.)
<단점>
1정령 메커니즘 때문에 항상 뒷일을 생각하면서 카드를 써야된다. 때문에 미숙하면 패가 잘 꼬인다.
2퀘방밀에 약하다. 이생키때문에 3시간이나 걸렸다. 알렉 정분을 맞고도 버틴건 이 놈이 유일하다.
(멀록주수리한테도 생각보다 약하다.광역이 없어서 한 번에 정리하기 어렵다. 근데 퀘방밀이 훨씬
많이 보여서 명치 뽀개기 위해 광역은 넣지 않았다.)
3태생이 사제라 그런지 그냥 좀 약한거 같다. 정령주수리가 더 쎈거 같기도..
어차피 제타롯꺼 안 보고 내 공략 보는 유저분들은 다 황금사제일테니까 감안할 거라고 생각한다.

이 덱을 굴리는 법은 초중반에 정령들 시너지로 사기치면서 패 다 달때쯤 라이라로 
깽판을 놓으면서 패보충하는 것이다. 정분은 걍 라이라랑 던져도 되고 달려야되는
직업 상대로는 코스트 남을 때 던져도 상관없다. 벽덱들 상대로 아끼면 정말 똥된다.

<대응>

퀘법사
얘는 다들 안토니 무한염구하려고 하는데 빡세게 명치 때려야한다. 그렇다고 다내면 광역 쓸리니까
필드 조절하고 얼회 종말은 유명한 콤보니 항상 고통을 가지고 있는게 좋다. 환영 추가되서 더 서치가 
쉬워졌다. 광역 갯수 세면서 광역기 없는거 눈치까면 패없을때 라이라가 등판해서 깽판치면된다.
근데 여기까지오면 사실상 이기기 힘드니까 정령들로 명치 후두려패자. 그리고 미명뿌리가 얼방 뽑아오면
더더욱 차분하게 명치를 칠수 있다. 거의 이겼다고 봐도 된다. 그리고 왠지 모르게 얼화가 멀리건에
안 잡힌다. 그냥 막 깔아도 초반에 짤린 적이 거의 없다.

퀘방밀
하.. 얘는 진짜 미친듯이 달려야 된다. 5~6코에 난투 뺀다는 생각으로 간 보면서 하수인 막 깔고
찔끔찔끔 내다 퀘스트 완료하면 희망이 없어진다. 그리고 얘 상대로는 광기 물약을 킵해둔다.
즉사 달팽이 애들이 다 쓰는데 걔 전담마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얘는 체력 3이하 주력도발이
천지니까 환영으로 왠만하면 고통가져온다. 미친듯이 달리다 보면 어느센가 승부가 나있다.
초반엔 많이 발렸는데 수정하다보니 연승으로 5급 달성할 때 만난 2명은 썰버렸다.달려라 문이 열린다

퀘도적
진짜 약빨고 4코에 퀘완성하지 않는이상 멀리건 1~2코 잡고 코스트 딱딱 내면서
명치 달리면 이길 수 있다. 그리고 한 5~6코쯤 완성할텐데 그 때는 필드 못잡으니까 
정분이나 불길소환사로 마무리 해주면 된다, 

식물 도적?
얘 은근 엄청 쎄다.. 정리 잘하는 놈만나면 답이 없어지는데 벤클 저격할 때 죽음이 필요하고 우린 광역기가
없으니 정말 열심히 필드를 잡아야된다. 딱히 코멘트할 부분이 없다. 그냥 실력으로 이기면 된다.


해적 전사
얘는 퀘방밀보다 엄청 안보이는데 패가 개똥망이 아니면 할 만하다. 전사를 만나면 무슨 직업인지 몰라도
한놈은 명치 달려야되고 한놈은 명치 막아야되니 북녘도 들고 가고 그냥 1~2코는 다들고 간다.
단 환영은 안 들고 간다. 그거 초반에 쓰면 격차 따라잡기 매우 힘들다.

냥꾼
다 할 만한데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멀리건싸움

멀록주수리
최대한 멀록을 정리해라 대왕아가미?를 위한 죽음은 필수고 보통 6턴 내외로 무조건 퀘를 완료한다.
우리도 4~5턴 내로 필드 잡고 라이라로 사기치는게 좋다.

정령주수리
필드 싸움이 치열하다. 주수리 전설 8코 광역 3뎀과 혼소차 번폭등의 광역기는 염두해 두는 편이 좋다.
걍 내라 2코 때든 필요하면 그냥 죽어도 정령 종족값 있다.

사실 나는 복귀했을 때부터 얘한테 꽂혔다. 딱히 능력에 꽂힌 건 아닌데 그냥 꽂혔다.
무과금 유저라 평생 생각해본적도 없던 첫 황전을 얘로 만들었다. 그래서 얘를 위한 덱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그렇게 만들어진게 이 덱이고 나머지 덱들에도 모두 얘가 들어갔다.
나도 왜 얘가 이렇게 좋은진 모르겠는데 어쨋든 성능면으로 꽤나 좋은 것같다. 굳이 주문이
많이 없어도 1~2개만 있으면 계속 사이클을 돌릴 수 있고 어차피 턴 넘기면 상대가 죽여줄거다.
얘도 아끼면 똥되니 각 보이면 그냥 던지자.우린 얘로 또 보충할 수 있다.
가장 좋은 타이밍은 상대가 못죽일거라고 판단했을 때 5코 칼같이 내는 것과 극후반 즈음 광역기 빠지고
던지는 게 좋다.

나는 사제의 강자한텐 약하고 약자한테도 약한 면에 반해 플레이해왔다. 이제 티란데의 마성에 빠져서
다른 직업은 손도 못댄다. 그러니 다른 사제유저들이 좀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
그러니 사제가 1티어가 될 그 날을 위해!

<수정>

목록으로

코멘트

코멘트(0)

인벤 공식 미디어 파트너 및 제휴 파트너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박규상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