덱 시뮬레이터
이 덱을 평가해 주세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덱의 성능은?
추천 : 0 / 비추천 : 5
이 덱으로는 조금 힘들지 않을까요?
카드 리스트 - 제작 가격:
00/30

덱 복사카운팅 툴
- AAEBAa0GHpcCnAKfA6UJ0wrXCvcTwxaIrwKDuwK1uwLYuwLRwQLo0AKQ0wL3/AKXhwPmiAP8owOZqQPyrAOIsQOTugOfzQPLzQPXzgP7zgP21gPi3gP93wMAAA==
- 덱 코드 발급받기
사제
- 카드 없음
중립
- 카드 없음
비용 분포 (마나 커브)
- 0
- 1
- 2
- 3
- 4
- 5
- 6
- 7+
- 평균 비용 : -
덱 구성
- 하수인
- 주문
- 무기
- 장소
- 오리지널 카드
- 고전
- 핵심
- 이벤트
- 낙스라마스의 저주
- 고블린 대 노움
- 검은바위 산
- 대 마상시합
- 탐험가 연맹
- 고대신의 속삭임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
- 운고로를 향한 여정
-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 코볼트와 지하 미궁
- 마녀숲
- 폭심만만 프로젝트
- 대난투
- 어둠의 반격
- 울둠의 구원자
- 용의 강림
- 갈라크론드의 부활
- 황폐한 아웃랜드
-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 수습 악마 사냥꾼
- 광기의 다크문 축제
- 불모의 땅
- 스톰윈드
- 알터랙 계곡
- 가라앉은 도시로의 항해
- 나스리아 성채 살인 사건
- 리치왕의 진군
- 아서스의 길
- 전설노래자랑
- 티탄
- 시간의 동굴
- 황야의 땅 결투
- 위즈뱅의 장난감 공방
- 극한의 극락
- 끝없는 어둠
-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 운고로의 잃어버린 도시
선공 및 후공을 선택해 주세요.
추가 설명
안녕하십니까? 야생에서 서식하는 사제 장인 훈련조교입니다.
제가 이렇게 글을 올리는 이유는 음. 뭐 뻔하죠. 방금전에 전설 달았으니까 자랑할려고 하는 거죠.
이번 미니 확장팩이 나오고 나서, 많은 변화가 있었죠. 미니 확장팩 나오고 나서, 그 놈의 농사꾼 때문에 엄청 애 먹었는데, 그래도 빠른 수정을 해주어서 다행이다 생각합니다.
저도 농사꾼 사제를 몇판 해 봤는데, 뽕맛은 정말 오지더라고요. 그래서 여러분들도 뽕 좀 빠셨습니까? 다들 적당히 뽕 빠시길 바랍니다. 사실 저는 좀 지겹던데. 어쨌든 이런 버그성 사기덱 하나 나오면, 너도 나도 뽕 한번 빨아보겠다고, 덱을 만드는 통에 맨날 같은 덱이야. 농사꾼 흑마, 농사꾼 사제 아니면, 농사꾼들 때려 잡는 도적 이런거 정말 지겹게 많이 봤어요. 그래서 한동안은 등급전을 안했어요. 재미가 없어서.
아, 이번에는 좀 다른 추가설명도 들어갔어요. 이번에 2월 4일자에 메타스톰에서 야생의 레포트가 나왔거든요. 우리는 아시아 서버만 주로 하니까, 이번 기회에 전 세계적인 경향도 한 번 살펴보기로 하죠. 하스스톤을 재미있게 하기 위해선, 단순히 내 덱만 연구해서는 어렵고, 상대를 알아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게 저같은 장인들의 자세죠.
"요즘 이 자식들이 이렇게 사기를 치는구나. 그러면 난 이렇게 사기를 쳐야겠다." 하는 마음이 드실겁니다.
이게 진정한 사제의 긍정적인 자세입니다. 제가 이렇게 열심히 연구할때면, 가끔씩은 이렇게 열심히 하는 제가 스스로 존경스럽습니다. 이거야 말로 진정한 재능 낭비(?)같기도 하고.
어 맞다. 혹시 여러분중에는 저 훈련조교가 사제 장인이라고 하는 점에 대해서 "니가 뭔데, 사제 장인이라고 막 쓰는 거야?" 하시는 분도 있을 수 있을것 같아요.
맞습니다. 저는 원래 고양이 가슴이라서, 이런 표현 잘 못쓰는데, 처음 시작할때는 소심하게 '용사제 장인', '컨트럴 사제 장인', '천정내열 사제 장인' 이렇게 하나 둘 쓰다보니, 메타에 따라 매달 호칭이 바뀌는 거에요. 그러다 보니, 저를 부르는 호칭이 너무 많아서, "에라, 뭐라하는 사람도 없던데, 그냥 사제 장인이라고 하자." 이렇게 변한겁니다.
0. 전설인증 및 승률

방금전에 따끈따근하게 전설을 달성했죠.

승률은 12승 3패 무려 71% 입니다. 제가 이렇다고 해서 여러분들도 똑같이 이런 승률이 나오는 건 절대 아닙니다. 일단 매치업이 좋았습니다. 오늘따라 갑자기 사제가 많아서, 이 자식들을 다 때려잡았죠. 사제 놈들이 하는 건 제가 한눈에 다 파악하기 때문에, 이 놈들이 뭘 하려는지 저는 아주 잘 알거든요. 대전수는 더 많은데, 덱 트래커 집계를 좀 늦게 했어요.
1. 현재 메타 설명
이럴 수가 있습니까? 미니 확장팩 이후로, 그동안 칼(왕의파멸)을 갈면서, 때를 기다렸던 도적들이 4대 천황의 자리에 올라왔습니다.
메타스톰의 레포트(현재 이번 달 꺼, 미니 확장팩 이후)에 따르면, 무려 2개의 덱이 1티어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하나는 왕의 파멸을 쓰는 왕파 도적이고, 또 하나는 홀수 도적입니다.
벤클리프 너프 이후 도적 유저들은 "씨8, 도적만 죽으라는 거냐'며 많은 데모를 전세계적으로 했는데, 이게 먹혔나봐요.
미니 확장팩에서 또 사기 카드를 받았어요. 그런데 이 도적 누님들은 원래 야생에서도 벤클리프를 한번도 안썼단 말이야. 벤클리프 너프 이전보다 더 쎄졌어요. 정말 데모할만 하네요. 우리 사제들도 도적 누님을 따라서 데모하면 어떨까요? 음 전세계적으로 욕을 바가지로 먹겠지? 아놔 사제는 맨날 이래.
나머지 1티어 덱은 뭐냐고요? 아래 보면 나와요. 뻔하죠. 법사, 흑마, 사제. 야생에서 늘 보는 적폐 삼인방들이죠.
그래서 현재의 4대 천황은 부동의 1위인 마법사, 그리고 흑마법사, 사제, 도적의 4파전이 이루어 지게 되었습니다. 잠시나마 홀수기사가 1티어에 오른적이 있었지만, 원래 있던 자리로 금방 내려가네요.

# 메타스톰의 레포트에 따르면 도적은 1티어에 무려 2개 덱을 올려 두었습니다. 혹시나 템포스톰에 나온 여러 직업들이 덱들이 궁금하시거나 레포트 내용을 연구하고 싶은 분들은 https://tempostorm.com/ 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검색할 때는 구글에서 '영어'로 "tempostorm"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기는 정말 괜찮은 사이트입니다. #
자 지금 메타는 이런 상황입니다. 이제는 도적의 점유율도 만만치 않아요. 꽤 높습니다. 4대 천황 맞아요.
우리 사제 장인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아, 이번 달에는 도적한테도 사기치면 되는구나" 이걸 깨닫는 겁니다.
그리고 메타 스톰에서 추천하는 덱을 면밀히 검토하는 거죠. 참고로 메타스톰에 올라온 58사제의 덱 코드만큼은 제가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사항 : 메타스톰의 추천 덱 #
### Reno Priest - Wild Meta Snapshot - Feb. 2, 2021
# Class: Priest
# Format: Wild
#
# 1x (0) Raise Dead
# 1x (1) Holy Smite
# 1x (1) Northshire Cleric
# 1x (1) Pen Flinger
# 1x (1) Potion of Madness
# 1x (1) Renew
# 1x (1) Sphere of Sapience
# 1x (1) Wave of Apathy
# 1x (2) Bloodmage Thalnos
# 1x (2) Dirty Rat
# 1x (2) Mo'arg Artificer
# 1x (2) Novice Engineer
# 1x (2) Penance
# 1x (2) Seance
# 1x (2) Shadow Visions
# 1x (2) Shadow Word: Death
# 1x (2) Spirit Lash
# 1x (2) Zephrys the Great
# 1x (3) Breath of the Infinite
# 1x (3) Gluttonous Ooze
# 1x (3) Hysteria
# 1x (3) Palm Reading
# 1x (4) Kazakus
# 1x (4) Spawn of Shadows
# 1x (5) Lorekeeper Polkelt
# 1x (5) Mass Hysteria
# 1x (5) Raza the Chained
# 1x (6) Reno Jackson
# 1x (7) Psychic Scream
# 1x (8) Shadowreaper Anduin
#
AAEBAa0GHtfOA5cC8gyfzQO1uwKTugOPzgPLzQPtBd/EAum+A5wCmakD5ogD0cEC0wrwzwL8owPyrAPTxQL44wPi3gPYuwL3E/bWA5eHA4O7AsMW6NACkNMCAAA=
#
# To use this deck, copy it to your clipboard and create a new deck in Hearthstone
# Class: Priest
# Format: Wild
#
# 1x (0) Raise Dead
# 1x (1) Holy Smite
# 1x (1) Northshire Cleric
# 1x (1) Pen Flinger
# 1x (1) Potion of Madness
# 1x (1) Renew
# 1x (1) Sphere of Sapience
# 1x (1) Wave of Apathy
# 1x (2) Bloodmage Thalnos
# 1x (2) Dirty Rat
# 1x (2) Mo'arg Artificer
# 1x (2) Novice Engineer
# 1x (2) Penance
# 1x (2) Seance
# 1x (2) Shadow Visions
# 1x (2) Shadow Word: Death
# 1x (2) Spirit Lash
# 1x (2) Zephrys the Great
# 1x (3) Breath of the Infinite
# 1x (3) Gluttonous Ooze
# 1x (3) Hysteria
# 1x (3) Palm Reading
# 1x (4) Kazakus
# 1x (4) Spawn of Shadows
# 1x (5) Lorekeeper Polkelt
# 1x (5) Mass Hysteria
# 1x (5) Raza the Chained
# 1x (6) Reno Jackson
# 1x (7) Psychic Scream
# 1x (8) Shadowreaper Anduin
#
AAEBAa0GHtfOA5cC8gyfzQO1uwKTugOPzgPLzQPtBd/EAum+A5wCmakD5ogD0cEC0wrwzwL8owPyrAPTxQL44wPi3gPYuwL3E/bWA5eHA4O7AsMW6NACkNMCAAA=
#
# To use this deck, copy it to your clipboard and create a new deck in Hearthstone
사제 장인인 제가 이 덱을 검토해봤더니 이 덱은 상대에 대한 배려가 너무 없어요. 비법이 이렇게 많은데, 비삼자 한 장은 넣어주어야 하는 거 아냐? 도적이 이렇게 많은데, 코볼트 한 장은 넣어줘야 하는 거 아냐? 저는 아주 불만 투성입니다. 이 추천 덱은 마치 성기사나 어그로 덱만 잡으려고 만든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커스텀을 했습니다. 비삼자랑 코볼트를 한장씩 넣어주는 거죠.
2. 덱의 특징
템포 스톰을 아무리 읽어봐도 저는 아시아 서버의 덱들이 더 파워풀하게 느낍니다.
(1) 비법잡는 비삼자와 도적잡는 코볼트의 동시 채택
: 물론 비법만나면 코볼트가 잡히고, 도적만나면 비삼자가 잡히고, 흑마나 사제 만나면 둘다 잡히고 이런 경우 있죠. 이렇게 여러분의 고혈압을 유발하는 멀리건이 잡히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번 잡고 시작하면, 불리했던 매치업이 확 유리함으로 바뀝니다.

# 아싸 멀리건에 코볼트 1승 거져 먹는거죠. #

# 왕파 갖고 오니까 5코에 빠른 포기 : 너무 빨리 포기해서 "감사합니다"란 말도 못했어요. #
(2) 빅사제인척 블러핑하는 58 사제 형제님들을 위해, 그리고 티케투스로 장난치는 흑마 형님들을 위해 복제장치를 넣었습니다. 제가 느끼는 전설 구간의 사제들은 빅사제보다 58사제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 사제 형제님들이 빅사제인척 블러핑을 하거든요. 연기를 잘 하면 정말 헷갈려요. 처음에는 암흑의 환영이랑 손금보기 같은 주문만 쓰다가 갑자기 라자가 나온다든지 이럽니다. 그래서 넣었어요.
그리고 티케투스를 쓰는 흑마가 너무 많아요. 티케투스를 덱에 있을때부터 갖고 와야겠다. 이 생각을 한겁니다. 만일 하이랜더 사제, 흑마, 법사가 더 많이 나온다면 아예 그냥 무한의 숨결 빼시고 생각훔치기 한장 넣어주세요.
(3) 신카드는?
너프 되었지만, 광분이 그래도 괜찮아 보이긴 하는데 저는 광분 나올때 마다 가루로 다 갈아서 한장도 없어요. 휘귀카드로 100가루면 정말 큰 거 아닙니까? 카드 팩 열다보면 나중에 또 나올텐데 그때나 광분을 쓸려고요.
3. 기타 Q&A
(1) 혹시 어둠의 종복이나 폴켈트를 안쓰는 58사제가 있습니까?
있습니다. 지금 보시면 제 덱은 가볍습니다. 저처럼 덱이 가벼운 경우는 하수인들이 워낙 약하기 때문에, 폴켈트를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로 덱을 좀 무겁게 해서 하이랜더를 만들수가 있습니다. 특히 용족을 접목해서 하이랜더 덱을 만들면 이런 현상이 나옵니다.
용족은 원래 필드싸움이 좋으니까, 꼭 암흑사신 안두인으로 변신해서 폭딜을 하는게 아니라, 그냥 광역기 처럼 쓰면서 버티면서 딜합니다. 이 때는 일루시아를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내 덱이 무거우면, 우리가 일루시아를 냈을때 상대가 할게 별로 없거든요. 저랑 자주 매치되는 해외 유저 중에 드래곤 하이랜더 사제덱을 아주 잘 쓰는 분을 저는 알고 있습니다. 이 분은 어둠의 종복도 넣지 않더라고요. 이유는 저와는 달리 저코 주문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죠.
워낙 발견 카드가 많아서 특히 사제 미러전에선 극강입니다. 저는 이 분한테 많이 졌어요. 하지만 주류 덱은 아니죠. 아직까진요.
(2) 탈노스랑 전시품 수집가 같은 죽메 하수인은 어디로 갔나요?
그냥 뺐습니다. 요즘 연계 플레이를 하기가 어려워서요. 성기사가 좀 많으면 넣을텐데 그렇네요.
(3) 어둠의 종복과 깃펜이 함께 잡혔을 때 딜계산은 어떻게 합니까? 좀 복잡하던데.
코스트로 계산을 바로 할 수 있습니다. 깃펜은 무조건 1코 아닙니까? 내 마나가 10코스트라면 어둠의 종복이 4코스트니까 나머지는 6코스트가 남습니다. 내 주문이 모두가 1코스트라면 내가 낼수 있는 카드의 장수는 1 + 6 인 일곱장이 됩니다.
그러면 내 딜은 6 x 7 + 2 + 3 = 47 딜까지 나옵니다.
2코스트 주문이 한장 있다면, 어둠의 종복 4코, 2코스트 주문 한장이니까 나머지 4코스트는 최대 4장을 낼 수 있는 거죠. 말했잖아요? 깃펜은 어차피 1코스트니까요. 이러면 내가 낼 수 있는 카드 수는 여섯장이 됩니다.
그러면 내 딜은 6 x 6 + 2 +3 = 41 딜 나오네요.
한번 더 해드릴까요? 2코스트 주문이 두장있다면, 어둠의 종복 4코, 2코스트 주문 2장이니까 나머지 코스트 2코스트로 최대 2장이잖아요? 그러면 종복 1장, 2코 2장, 나머지 2장으로 총 다섯장이 나옵니다.
그러면 내 딜은 6 x 5 + 2 + 2 = 34 딜 나오네요.
이런식으로 '어차피 깃펜의 코스트는 1이다' 의 생각으로 코스트로 딜을 계산하시면 금방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하시는 분이라면 좀 익숙해지기 어려울 거에요. (1) (2)편의 딜 계산을 숙지하시고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동전이 있는 경우도 그냥 이번턴은 11코스트 플레이가 가능하다 생각하면 되죠. 그럼 계산 팍팍 될겁니다.
(4) 전설인증 하려고 이미지 올릴려고 하는데 계속 버그가 납니다. 어떻게 올리신 겁니까?
아 이건 스크린샷 게시판에 미리 이미지들을 다 올리고 이미지 주소를 복사해서 링크만 올린 겁니다. 스크린 샷 게시판에 가시면 제가 이미지만 올린다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5) 한번 관전하고 싶은데 친추 됩니까?
관전하고 싶은 분은 댓글에 자신의 배틀태그를 달아주시면 제가 친추 승낙하겠습니다. 아까 대전해서 욕하실려고 하는 분들과는 좀 구분을 해야하니까 이해 바랍니다. 제 배틀태그는 리나인버스#3370 입니다.
4. 마지막으로
이번달에도 야생에서 사기치는 훌륭한 사기꾼, 아니 훌륭한 사제님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58사제를 처음하시는 분이라면 제가 쓴 글 (1) (2)편을 꼭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 직업의 화제 덱
- [하스돌](나름 정성)소리마약 쨍그랑 사제 [16]
- [하스돌] 프리스트코인 [BGM] [11]
- 제타롯의 어그로사제에 핀자를 섞은 어그로핀자사제!!!! [31]
- 퀘스트 메카툰 사제 [24]
- 카라잔 마녀 영웅모드 극 저가루 [14]
이 유저가 올린 덱
코멘트
코멘트(0)